비트코인이 8만~8만2천 달러 구간을 잇따라 이탈하며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대규모 레버리지 청산이 발생했다.
주요 데이터 플랫폼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20억 달러가 넘는 선물·옵션 포지션이 정리되며 10월 이후 최대 규모의 강제 청산 사태가 재현됐다. 일부 시점에서는 1시간 동안만 약 10억 달러에 가까운 포지션이 무너졌고, 전체 청산 중 상당수는 매수 우위에 쏠렸던 롱 포지션에서 발생했다.
비트코인은 한때 8만 달러 초반까지 밀리며 수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더리움 역시 2,7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에서는 3,678만 달러 규모의 단일 비트코인 포지션이 청산되는 등 대형 계정의 손실이 집중됐다. 시장 전반에서는 30만 명이 넘는 트레이더가 포지션을 잃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급락은 단일 요인보다 복합적인 구조적 원인들이 결합된 결과로 분석된다. 10월에 기록된 190억 달러 규모의 사상 최대 청산 이후 시장조성자들이 유동성 공급을 크게 줄이면서, 작은 가격 변동도 연쇄적인 강제 청산으로 이어지는 환경이 형성됐다. 특히 옵션 만기 규모가 40억 달러 이상 쌓인 가운데 풋 옵션 비중이 확대되며 단기 하락 압력이 강화됐다.
거래소 별 데이터에서는 비트코인이 전체 청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약 10억 달러가 사라졌고, 이더리움 역시 4억 달러 내외의 롱 청산이 발생했다. 일부 장기 보유 계좌에서 110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매도가 확인되는 등 고래 매매도 하락 압력을 키웠다. 반면 일부 기관·대형 투자자들은 8만5천 달러선에서 현물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대응을 보이며 저가 매수 흐름도 감지됐다.
ETF 자금 흐름 둔화 역시 충격을 확대했다.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는 하루 9억 달러에 육박하는 순유출이 관측됐고, 장기 평균 매입 단가가 8만~9만 달러대에 형성된 기관 투자자들도 일부 손절 압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공포·탐욕 지수는 ‘극단적 공포’ 구간으로 급락해 시장 심리가 완전히 뒤집힌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청산이 단기적인 레버리지 과열을 정리하는 과정이라면서도, 8만 달러 초반 구간이 무너질 경우 7만대 중반까지 추가 하락 위험이 열려 있다고 진단한다. 반대로 8만5천~9만 달러대를 회복하면 단기 반등 시나리오가 가능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다만 ETF 흐름, 유동성 회복 여부, 옵션 만기 이후의 포지션 재정비 등 핵심 변수들이 개선되기 전까지는 변동성 확대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면책 조항 : 이 기사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시장 상황은 급변할 수 있으므로, 위 정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스포츠&블록체인 프리랜서 기자 Dragon Ch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