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의 목차
엘살바도르, 총 6,274BTC 지갑 분산
비트코인을 법정 화폐로 지정하는 등 혁신적인 가상 화폐 정책을 펴왔던 엘살바도르가 또 다시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높은 지지율을 등에 업고 대통령에 부임한 이후부터 비트코인을 활용한 국고 전략을 주장한 나이브 부켈레 정부는 단일 지갑에 보관 중이던 한화 약 9,400억원 가치의 국가 보유 BTC(비트코인) 6,274개를 14개의 지갑으로 분산했다고 발표했다. 보유 BTC 수량에 맞게 각 지갑은 최대 500BTC까지만 보관하도록 설계되었다.
지갑을 분산한 이유 – 양자 위협
엘살바도르 정부가 이러한 행동을 보인 이유는 양자 위협, 즉 양자 컴퓨팅을 통한 해킹 피해를 완화하기 위함이다. 이전부터 여러 IT 전문가들과 암호 화폐 관련 업무 종사자들은 향후 양자 컴퓨터가 실용화 될 경우에 현재의 공개 키 암호 방식은 양자 컴퓨터를 이용한 해킹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고 문제를 제기해 왔다. 공개 키 암호 방식은 공개된 키로 암호화한 내용을, 대응되는 개인키를 가진 사용자만 열어볼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개인키로 생성한 서명을 공개키로 누구나 검증할 수 있어 뛰어난 보안성과 신뢰성을 제공하고 있다.
문제는 코인이 실제로 사용될 때 발생한다. 거래를 진행하려면 자금을 보호하는 디지털 서명을 블록체인에 공개해야 한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양자컴퓨터는 그 공개된 정보를 이용해 개인 키를 계산해 알아내고, 거래가 확정되기 전에 그 코인을 훔칠 수 있다는 것이다.

엘살바도르가 선택한 신뢰의 방식
암호 화폐 관련 뉴스를 다루는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는 “이번 결정의 핵심 배경은 지갑을 분산해 손실 범위를 제한하는 방식 위함이다”라고 전했다. 또 다른 암호 화폐 소식지 코인데스크(Cointdesk)는 이번 엘살바도르의 지갑 분산 조치를 양자 리스크 완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분석하며, “앞으로 암호화폐 안전 보관 방식의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엘살바도르는 지갑 분산에 그치지 않고, 블록체인 대시보드를 통해 자산 이동 내역을 공개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움직임을 단순한 기술적 업데이트 이상으로 해석한다. 그동안 개인 투자자나 일부 거래소 차원에서만 논의되던 보안 강화 조치가 국가 단위로 확대되면서, 국민과 투자자에게 신뢰를 높이려는 투명성 강화 시도로써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글로벌 파급 효과
이번 엘살바도르의 지갑 분산 조치는 글로벌 암호 화폐 시장에 분명한 메세지를 던진다. “디지털 자산은 단순히 보유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한 관리와 보안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앞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나 국부펀드가 암호화폐에 접근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이번 엘살바도르의 실험은 다른 국가들에게도 교본이 될 수 있는 상징적 사례가 될 전망이 높다. 다만 분명히 해야 할 것은 이번에도 또 다시 작은 중남미 국가가 글로벌 암호화폐 담론의 한가운데 서 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