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에서 암호화폐가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다.
프로토콜테오리와 코인데스크가 공동 발간한 ‘APAC Digital Asset Adoption 2025’’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을 사용하는 성인 중 최대 25%가 암호화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조사는 10개국에서 성인 4,02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기반으로 APAC 전체로 확장해 분석됐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확산의 핵심 요인으로 ‘전통 금융 접근성의 한계’를 지목했다. 특히 인도, 필리핀, 태국, 중국 등 신흥 시장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사용 비율이 약 18%에 달하며, 송금 수요·통화 변동성·대안 투자 수단이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 모바일 월렛과 사용자 친화적 거래소의 등장도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춘 것으로 평가된다.
흥미로운 점은 암호화폐 참여 동기가 과거의 ‘투기’ 중심에서 ‘실사용성’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국경 간 송금, 토큰화 자산이 새로운 디지털 경제의 실질적 기반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사용성·통합·포용성에 대한 기대가 참여를 재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암호화폐를 알고 있는 성인의 절반은 향후 1년 내 사용 의향을 나타냈다.
다만 전통 금융 서비스가 워낙 사용자 친화적인 지역도 있어 성장 속도는 국가별로 차이가 난다. 보고서는 “디지털 은행 계좌, 간편 송금, 전자결제 등 기존 금융 인프라가 충분히 편리해 암호화폐의 상대적 필요성을 약화시키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용자들이 지갑·거래소·토큰 전송 과정의 복잡성을 어려움으로 인식한다는 점도 장애 요인으로 꼽혔다.

각국의 규제 환경도 채택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신흥국(인도·중국·필리핀·UAE·태국)에서는 70% 이상이 “규제는 신뢰 확보의 핵심 요소”라고 답했다. 보고서는 “신흥국에서 규제는 제도적 신뢰를 대체하는 장치로 작동하며 참여 정당성을 보장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홍콩·싱가포르·호주에서는 규제 필요성을 느끼는 비중이 약 66%, 일본은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기존 금융보호 장치가 충분한 국가일수록 규제는 ‘접근 다리’가 아닌 ‘리스크 관리 수단’에 가깝다는 해석이다.
APAC은 이미 글로벌 평균을 크게 웃도는 채택률을 보이고 있다. 프로토콜테오리는 지난해 APAC 암호화폐 보유율이 22%로 세계 평균(7.8%)의 세 배를 넘었으며, 태국 43%, UAE 37%, 인도 32% 등 국가별 편차가 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APAC은 실생활 기반의 디지털 자산 활용이 빠르게 자리 잡고 있는 지역”이라며 “2026년 이후 세계 암호화폐 통합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면책 조항 : 이 기사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시장 상황은 급변할 수 있으므로, 위 정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암호화폐&스포츠 전문 기자 Dragon Cho]

